
‘인류세는 곧 자본세다'라고 단정하는 것과 과연 ‘인류세는 자본세인가?’라고 묻는 것은 같은 듯 다르다. 인류세 도래에 자본주의 힘이 막중한 영향을 미친 게 사실이지만, 기후생태 위기로서 인류세는 더 포괄적이고 다원적인 개념이다. 게다가 ‘모두가 기후 탓인가?’라는 질문에서 기후 위기의 입장은 비관론, 방관론, 중도론, 부정론 등으로 다양하게 갈린다. 1. ‘자본주의-식민화-제국주의’ 연결고리와 인류세 자본주의는 끊임없이 경제성장과 부의 축적을 추구한다. 폴 케네디는 『강대국의 흥망』(1988)에서 지난 5세기 동안 강대국의 흥망사를 설명했다. 강대국들은 자본축적과 경제성장을 통해 그 지위를 획득하고 나면,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국력의 더 많은 부분을 군사비로 돌린다. 구미 열강의 팽창주의가 바로 그 ..